✅ 이 글은 전기세 감면 할인 신청 대상 및 지급 기준, 신청 방법을 정리한 글입니다
[크리밍뉴스 = 조윤진 기자] 전기세 감면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으신가요? 올해 전기세 인상으로 인하여 기본적으로 우리가 살아가면서 사용해야 하는 전기 사용 요금에 대한 부담이 큰 상황이실텐데요.
이 글을 클릭하신 분들께서는 전기세 감면에 대해서 궁금해 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기세 감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3분만 글을 읽는데 투자하신다면, 적어도 10만원 이상의 가치를 가져가실 거라 200% 확신합니다. 자, 그럼 바로 보시죠.
전기세 감면 할인 조회
즉, 한전 에너지 캐시백 신청은 2021년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하여 2022년 전국으로 확대가 되어 시행이 된 제도입니다.
과거 동월을 기준 전기 사용량을 비교하여 절감이 됏다면 전기 요금을 감면하는 형태로, 절약 유도 및 사용자의 전기 요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는 사업입니다.
그러니 가구가 전기 사용량을 절약한 만큼 요금 할인 혜택을 받아보실 수가 있는 것입니다.
전기세 감면 할인 신청 대상
전기세 감면 신청 대상은 주택용 고객 중에서 신청 주소지에 거주하는 것이 확인이 된 사용자여야 합니다. 또한, 주택용 전기를 사용하는 가구와 고압 아파트 중에서 개별 세대 전기 사용량이 확인이 되는 가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신청일 기준으로 직전 2개년 사용 전력량 중 최소 1개년 이상의 전기 사용 이력이 확인이 되어야 대상에 포함이 됩니다.
단, 한국 전력이 시행하고 있는 절약 프로그램 참여 고객 및 신규 전기 사용 등으로 직전 1개년 동월 분 사용 전력량 자료가 없는 고객과 고압 아파트 개별 세대 사용 전력량 정보 미제출 고객의 경우에는 제외가 됩니다.
전기세 감면 할인 지급 기준
전기세 감면 지급기준에 대해서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기준 최소 절감률 3%와 동일 지역 참여자 평균 절감률 이상을 달성하는 경우에는 절감량 1kWh당 30원을 지급합니다.
차등 기준 전기를 더욱 많이 아끼면 더 준다는 목적으로 평균 절감률과 관계 없이 절감률 5% 이상 달성을 할 경우 30%를 한도로 하여 절감률 구간 별로 1kWh당 30원 ~ 70원을 차등 지급이 됩니다.
평균 절감률을 달성했다면 받을 수 있는 기본 과 전기를 더욱 아끼면 더 받을 수 있는 차등이 나눠져 있으므로 헷갈리지 마시길 바랍니다.
매월 산정 된 것은 다음 달 전기 요금에서 차감하여 청구가 되고, 참여 기간 중에서 이사를 가거나 혹은 실제 거주하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지급 면제를 해주기도 합니다.
전기세 감면 할인 신청 방법
신청은 지난 6월 7일부터 접수를 받고 있으며, 별도의 신청 기간 없이 사철 언제든 접수를 하실 수가 있습니다.
단, 2023년 6월 7일 ~ 8월 31일 내 신청한 고객 분들의 경우에는 2023년 7월 분 사용량부터 적용되며, 그 외에 기간에 신청을 하는 경우 신청일이 속하는 월 분 부터 적용이 됩니다.
신청 방법은 온라인 신청과 방문 신청 두 가지 방법으로 가능한데요. 온라인 신청은 검색 창에 한전 에너지 캐시백을 검색하면, 공식 홈페이지나 나오며 해당 홈페이지에서 신청 절차를 그대로 따라가시면 됩니다.
가입 경로를 문자로 받고 싶으시가면 한국 전력 고객 센터로 문의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여신금융협회 내가 사용하고 있는 카드 포인트 현금화하기
✅ 우리집도 가스요금 폭탄? 가스요금 초간단 조회방법!
✅ 1인당 월 최대 32만원 지급? 노령연금 알아보자!
오늘은 이렇게 전기세 감면 할인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알려드린 정보가 도움이 되셨을까요? 이 내용이 궁금하셨던 분들께서는 한 번 참고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거 같습니다.
그럼 이 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