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및 일용직 아르바이트 알아보기 A-Z까지 총정리!

✅ 이 글은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및 일용직 아르바이트를 정리한 글입니다

[크리밍뉴스 = 조윤진 기자] 주휴수당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으신가요? 최근 편의점주 단체가 폐지하고 내년도 최저임금이 10% 이상 낮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주휴수당

이 글을 클릭하신 분들께서는 주휴에 대해서 궁금해 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3분만 글을 읽는데 투자하신다면, 적어도 10만원 이상의 가치를 가져가실 거라 200% 확신합니다. 자, 그럼 바로 보시죠.

주휴수당 조회

주휴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하루씩 유급휴일을 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일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노동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며, 이를 주휴일이라고 합니다.

즉, 주휴일에 하루치 임금을 별도 산정해 지급해야 하는 수당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보통 주 5일 근무제로 하루 8시간씩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게 되면 8시간에 시급을 곱한 값을 수당으로 받게 되는데요.

근무형태에 차이 없이 40시간 이상 근무를 해도 8시간 분량의 임금만 산정이 되고, 일 8시간 주 5일 근무를 표준으로 보니 주휴일에 실제 일을 한다는 가정이 아니라 그냥 쉬는 날 하루치 임금을 주는 것입니다.

다만, 40시간보다 적게 일한다면 그만큼 하루치 평균임금, 즉 일당이 줄어들게 되므로 그만큼 수당도 적게 책정이 되는 것입니다.


일용직 주휴수당 계산 방법

일용직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주 5일 근로를 상정하는 월급 근로자나 또는 타 근로자와는 산정 방법에서 차이가 있는데요.

행정지침에 따라서 일용직의 만근 기준일은 일주일 중 6일이며 비가 오거나 공정상 쉬게 된 날은 휴업일이 아닌 그냥 휴일로 간주가 됩니다.

다만, 변동 사항 없이 주 6일을 전부 근로한다면 계약 받은 일일 급여의 액수를 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산정기준은 일의 시작일과 상관없이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를 한주로 해서 그 기간 내 6일을 만근한 주를 기준으로 수당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하게 됩니다.

일용직 주휴수당 계산 방법

아르바이트의 경우에는 주에 40시간 이상 근로한 시급제와 일급제로 구분되며, 근무한 시간만큼 지급하는 기본급 외에 수당을 별도로 계산해 지급해야 합니다.

시급제라면 계약된 시급의 8시간 분을, 일급제는 계약된 일급의 1일분 급여를 지급해야 합니다. 다만, 주에 40시간 미만을 근로한자는 40시간 이상 일을 한자와는 계산 방법이 다르게 되는데요.

유급휴일은 주 5일 근로를 기준 하루 평균 일당을 지급하는 것이므로 최저시급 표기에 있어서 수당을 포함하여 표기하면 안 됩니다.

✅ 40시간 또는 그 이상의 시간 동안 일한 근로자

따라서 한 주에 40시간 또는 그 이상의 시간 동안 일한 근로자는 그냥 하루치 일당(8시간 분)을 그대로 수당으로 계산해 지급하면 됩니다.

✅ 40시간 미만이거나 또는 일주일에 5일 미만

40시간 미만이거나 또는 일주일에 5일 미만으로 이틀이나 3일씩 근로하는 사람은 그 2~3일 근로분을 5일 치로 나누고 주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을 경우에는 그중 하루의 평균값을 지급해야 합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여신금융협회 내가 사용하고 있는 카드 포인트 현금화하기

우리집도 가스요금 폭탄? 가스요금 초간단 조회방법!

1인당 월 최대 32만원 지급? 노령연금 알아보자!

오늘은 이렇게 주휴 계산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다. 알려드린 정보가 도움이 되셨을까요? 이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셨던 분들께서는 한 번 참고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거 같습니다.

그럼 이 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