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기준 중위소득 180% 및 150%, 200%를 정리한 글입니다
[크리밍뉴스 = 조윤진 기자] 기준 중위소득 알고 계신가요? 정부 지원 정책을 살펴보면 자격 조건에 중위소득 몇 % 만족이라고 되어 있는데요. 이게 어느정도인지 헷갈리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기준 중위소득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3분만 투자하셔서 이 글을 읽어보신다면 10만원 이상의 가치를 얻으실거라 120% 확신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조회
기준 중위소득은 전 국민을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딱 가운데에 위치한 사람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민들의 소득 분포를 파악함으로써 사회의 불균형을 파악하고, 적절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표입니다.
여기서의 소득은 각 가구 구성원들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임대소득 등 다양한 소득을 합한 값을 의미합니다.
소득의 총액은 가구의 구성원 수와 가구 내 구성원의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국민의 기초생활보장에 대한 주요 정책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금액이기도 합니다. 또한, 다양한 저소득층의 복지정책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180% – 150%
먼저, 150%인 가구의 소득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중위소득 150%는 해당 연도의 중위소득에서 1.5배를 의미하며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에도 기준이 되는 지표이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의 중위소득이 2,100만 원이라면, 중위소득 150%의 기준은 3,150만 원이 됩니다.
1인 가구의 경우 3,116,838원, 2인 가구의 경우 5,184,233원, 3인 가구의 경우 6,652,224원, 4인 가구의 경우 8,101,446원, 5인 가구의 경우 9,496,032원, 6인 가구의 경우 10,841,972원의 소득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180%
기준 중위소득 180%는 청년도약계좌의 기준이 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이에 따라, 1인 가구의 기준 금액은 3,740,206원, 2인 가구의 기준 금액은 6,221,079원, 3인 가구의 기준 금액은 7,982,669원인데요.
✅ 4인 가구, 6인 가구 4인 가구의 기준 금액은 9,721,735원, 5인 가구의 기준 금액은 11,395,238원, 6인 가구의 기준 금액은 13,010,366원입니다.
금액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며, 생활비 지원이 필요한 경우 이를 참고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180% – 200%
중위소득 200%는 국가장학금 1유형이나 다자녀장학금의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중위소득의 2배를 나타내는 지표로, 해당 가구의 소득이 일반적인 중위소득의 2배를 초과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따라서, 기준 중위소득 200%에 따르면 1인 가구의 경우 4,155,784원, 2인 가구의 경우 6,912,310원, 3인 가구의 경우 8,869,632원인데요.
✅ 4인 가구
4인 가구의 경우 10,801,928원, 5인 가구의 경우 12,661,376원, 6인 가구의 경우 14,455,962원 이상의 소득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중위소득 200%는 사회복지 정책 등에서 자주 이용되는 지표 중 하나이며,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가구들에게 추가적인 지원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여신금융협회 내가 사용하고 있는 카드 포인트 현금화하기
✅ 우리집도 가스요금 폭탄? 가스요금 초간단 조회방법!
✅ 1인당 월 최대 32만원 지급? 노령연금 알아보자!
오늘은 이렇게 기준 중위소득 180%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알려드린 정보가 도움이 되셨을까요? 이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셨던 분들께서는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럼 이 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