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밍뉴스=조윤진기자]안녕하세요. 최근 집 값에 대한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이 높아지며 많은 분들의 한 숨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제 막 사회에 뛰어든 사회 초년생분들의 경우 월세는 매달 부담이 되고
전세는 자금 자체가 부담이 되니 주거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런 청년분들을 위한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신청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은?
청년분들에게 가장 큰 고민이라고 한다면, 주거 관련 문제가 아닐까 싶은데요.
정부에서도 이를 인지해 다양한 협업 은행들과 손을 잡고 전세 자금이 부족한 청년분들을 위해서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이라는 명목으로
연 2% 대 수준으로 최대 1억 원의 임차 보증금을 대출해주고 있는 지원 사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조건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조건은 신청일 기준으로 만 34세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를 대상으로
임차 보증금 7억 원 이하인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임차 보증금의 5% 이상을 지급한 분들이 이용해 보실 수 있는데요.
임차 보증금의 5% 이상을 지급해야 하는 조건의 경우 기존 상품들과 큰 차이가 없지만, 임대차 보증금을 7억 원까지 허용하기 때문에 기존 3.25억 원에 비해서 더욱 많은 전세 집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 점이 특징입니다.
신청인과 배우자의 합산 연 소득이 7,000만 원 이하여야 하는데 부부의 경우 중기청 전세 대출의 경우 5,000만 원, 버팀목 전세 대출의 경우 6,000만 원 등의 조건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을 이용하기 부담이 되는 분들은 비슷한 상품들과 함께 비교해서 이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신청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은 위에서 언급 드린 대로 협업 은행에서 직접 신청이 가능한데요.
온라인 신청과 오프라인 신청 방법이 존재하는데 온라인 신청의 경우 협업 은행 온라인 홈페이지 혹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해서 직접 신청해 보실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신청의 경우 협업 은행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해 보실 수 있는데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협업 은행의 경우는
NH 농협, 국민 은행, 우리 은행, 신한 은행, 하나 은행, 기업 은행, 수협, 대구 은행, 부산 은행, 경남 은행, 광주 은행, 전북 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이 존재하니 원하는 은행을 선택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연중에 수시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며, 은행에 필요한 서류를 체줄하신 뒤 제출 서류 검토 및 심사 과정을 거쳐 대출을 실행해 주게 됩니다.
더욱 궁금한 점은 한국 주택 금융 공사 ARS 1688 – 8114에 문의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